맛 좋고 가치 있는 품종…해녀 고령화로 얕은 수심 조업 및 소득화 기대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현재민)은 제주연안 보말 중 크기가 크고 맛이 좋은 팽이고둥(지역명: 수두리 보말)의 인공종자 생산에 성공해 소득화 품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수두리 보말은 바다 고둥류를 일컫는 제주어로 상업적 가치가 높고 조간대를 포함한 수심 5m 이내의 얕은 바다에 주로 서식하므로 고령 해녀의 소득화 품종으로 적합하다.
해양수산연구원은 고령해녀 소득 보전과 보말 자원량 감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21년부터 인공종자 생산 연구에 착수했으며, 이번에 수두리 보말 인공산란 유도에 성공해 각장 1㎝ 내외 개체를 사육 관리하고 있다.
이번에 인공 생산된 보말 종류는 제주에서 수두리 보말로 일컬어지는 팽이고둥으로, 제주연안 보말 중 크기가 크고 맛이 뛰어나 산업적으로 가장 가치있는 품종으로 꼽힌다.
이번 시험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량 수정란 생산과 인공종자 생산기법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며, 향후 어업인 기술 이전을 통한 종자 방류 확대로 자원 회복에 기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제주 해녀들의 고령화로 70세 이상 비율이 약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해녀가 안전하게 물질을 할 수 있는 얕은 수심대의 소득화 품종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 70세 이상 고령해녀 비율 : 2011년 46.4%→2022년 64.7%
보말은 얕은 수심에 서식하는 특성상 쉽게 채집이 가능하고 최근 향토음식 식재료 수요가 늘어나면서 해루질 등으로 자원량이 급감해 인공 종자생산을 통한 방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