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침수 안전사고 357건 발생, 태풍 등 집중호우 잦은 9월에 집중
유형별 예방수칙 및 대응요령 준수, 지하공간 우수 유입 시 즉시 대피해야
유형별 예방수칙 및 대응요령 준수, 지하공간 우수 유입 시 즉시 대피해야

제주특별자치도 소방안전본부(본부장 김수환)는 태풍·호우로 피해가 잦은 시기를 앞두고 안전사고 증가에 대비해 오는 5일 침수 안전사고 주의보를 조기에 발령하고 빈틈없는 안전관리에 나선다.
최근 3년간 집중호우 기간 중 총 357건의 침수 안전사고가 일어났으며 그 중 49%(175건)가 9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장소별로는 단독·공동주택에서 발생한 침수사고가 42.3%(151건), 판매시설 13.7%(49건), 도로 12%(43건) 등이다.
시간대별로는 오전 9~12시경 침수사고가 20.7%(74건)로 가장 빈번했으며, 지역별로는 제주시 동지역이 43.4%(155건)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침수사고로 인한 구조인원은 총 22명으로 주택 고립 10명, 차량 고립 9명, 도로 고립 2명, 하천 고립 1명이다.
이에 제주소방안전본부는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재산피해 예방을 위해 침수 안전사고 주의보를 발령하고 유관기관과 공조체계를 구축해 사고유형별 행동요령을 전파하는 한편, 유사시 신속한 출동체계를 확립했다.
김수환 본부장은 “침수사고 유형별 예방수칙과 행동요령을 숙지해 안전사고에 대비해야 한다”며 “특히 침수피해에 취약한 지하공간에서는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면 즉시 대피하고 차량확인을 위해 지하주차장에 들어가는 행동 등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제주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